세상은 불친절하지만, 그 안에서 피어난 다정한 연대
<완득이>(감독: 이한, 2011)는 김려령 작가의 동명 베스트셀러를 원작으로 한 성장 드라마로, 가난하고 불안한 환경에서 자란 소년 ‘완득’과, 그의 고등학교 담임 ‘동주’ 사이의 유쾌하고도 뭉클한 이야기를 다룬다. 이 작품은 개봉 당시 531만 명의 관객을 끌어모으며 큰 사랑을 받았고, 사회적 소수자, 다문화 가정, 교육 현실, 빈곤 등 **불편한 주제를 유머와 따뜻한 시선으로 풀어낸 영화**로 평가받는다. 서론에서는 <완득이>가 단순한 ‘학교 이야기’나 ‘문제아와 선생님의 화해’라는 구조를 넘어, **우리 사회의 외곽에 있는 사람들에 대한 따뜻한 포용과 이해**를 담고 있다는 점을 중점적으로 짚고자 한다. 이 영화가 울림을 주는 이유는 그 어떤 것도 과장하지 않고, 삶이 있는 그대로 펼쳐지는 공간에서 **‘사람과 사람 사이의 온기’**를 끌어올렸기 때문이다. 완득이와 동주, 그리고 주변 인물들이 얽히는 과정은 곧 우리가 외면했던 현실과의 조우이자, 진짜 ‘성장’의 의미를 되새기는 여정이다.
줄거리와 흥행 포인트 – 욕설, 가난, 다툼, 그 안의 사랑
주인공 완득(유아인 분)은 가난한 다문화 가정 출신 고등학생이다. 청각장애가 있는 아버지와 둘이 살며, 사회와 학교에서 늘 소외되어 있다. 그의 담임 동주(김윤석 분)는 반항적인 완득을 그냥 내버려 두지 않는다. 때론 폭력적으로, 때론 집요하게 그에게 관심을 갖고 끈질기게 관여한다. 완득은 처음엔 그 관심이 불편하지만, 점차 동주와의 갈등 속에서 자신이 마주해야 할 현실과 감정, 과거를 하나씩 풀어간다. 그리고 동주는 완득의 삶을 통해 진짜 교육과 관계의 의미를 새롭게 배운다. 이들의 관계를 중심으로, 영화는 다문화 가정의 현실, 빈곤, 교육 불평등, 청소년 문제 등을 진솔하게 풀어낸다. 흥행 포인트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인의 현실감 있는 연기**: 완득의 눈빛, 말투, 걸음걸이 하나하나에서 진짜 ‘아이’가 느껴진다. 2. **김윤석의 반전 매력**: 거칠고 직설적인 담임 선생님이지만, 알고 보면 가장 인간적인 캐릭터. 3. **현실적이면서도 따뜻한 연출**: 지나치게 감성적이지 않으면서도, 인물들의 진심이 차곡차곡 전해진다. 4. **사회적 메시지를 품은 대중성**: 소수자 문제, 교육 현실, 가족의 형태 등을 영화적으로 잘 녹여내며 관객에게 공감과 문제의식을 동시에 전달한다. 5. **다문화 감수성**: 어머니(다니엘라 분)를 중심으로, 한국 사회의 이방인에 대한 시선을 되묻는 장면들이 자연스럽게 배치되어 있다. 무엇보다 이 영화는 ‘그냥 착한 영화’가 아니다. 때로 불편하고, 거칠며, 웃긴데 눈물이 나는 순간들이 오히려 현실적이다.
결론 – 가르치는 게 아니라 함께 자라는 것
<완득이>는 교육에 대한 영화이자, 성장에 대한 영화다. 그러나 그것은 교과서적인 정의나 미화된 서사가 아닌, **‘부딪힘과 대화, 충돌과 이해’를 통해 만들어지는 진짜 성장**이다. 동주는 완득에게 지식을 주지 않는다. 대신 ‘지켜봐 주는 어른’이 되어 준다. 완득은 그 시선을 통해 자신을 믿기 시작하고, 세상과 연결되기 시작한다. 결국 이 영화는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한 답을 주지 않는다. 대신, “그럼에도 살아가라”는 응원을 던진다. 우리는 완득이처럼 고립감을 느끼고, 동주처럼 거칠게 말하지만 안에서는 따뜻한 존재들과 함께 살아간다. <완득이>는 그런 우리에게 말해준다. “괜찮다, 조금 불완전해도. 중요한 건 함께 살아가는 것, 그 마음 하나면 된다.”
특별 관점 리뷰 – 영화 속 교실 공간이 전하는 관계의 변화
<완득이>에서 ‘교실’은 단순한 배경이 아니다. 그것은 **완득과 동주의 관계가 시작되고, 흔들리고, 회복되는 감정의 무대**다. 처음 교실에서의 완득은 구석에서 눈을 피하고, 말 없이 앉아 있는 존재다. 그러나 영화 후반, 그는 교실 중앙에서 당당히 발표하고, 친구들과 농담을 나누며 서 있다. 이 변화는 단순히 캐릭터의 변화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공간을 중심으로 관계가 진화하는 방식**을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또한 동주가 교탁 앞에서 소리 지르던 장면들과, 나중에 학생들과 자연스럽게 웃는 장면은 **권위와 거리감이 관계와 친밀감으로 바뀐 상징적 장면**들이다. 결국 교실은 교육의 공간이 아니라 **공감과 성장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작은 사회**이며, 그 안에서 완득이의 세계는 조금씩 넓어지고, 단단해진다. <완득이>는 말한다. "교실은 지식을 가르치는 곳이 아니라, 함께 살아가는 법을 배워가는 곳"이라고.